불상에 생명 불어넣는 불복장의 전통·의미를 밝히다 > 동학소식

  • 로그인
  • 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동학사 소식

불상에 생명 불어넣는 불복장의 전통·의미를 밝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25.04.24 조회60회 댓글0건

본문

 

 

 

불상은 단순한 예술품이 아니다. 그 안에는 시대의 정신, 사상, 염원, 심지어 천문과 주역, 의학까지 녹아든 ‘복장물(腹藏物)’이 함께 깃든다. 동학사 주지 경원 스님이 이 복장물의 의미와 전통을 조명한 책 ‘불복장의 비밀’을 출간하며 불상 조성의 숨은 세계를 일반 대중 앞에 펼쳐 보였다.

 

“불복장은 부처님의 몸속 오장육부에 해당합니다. 단순히 경전을 넣는 수준이 아니라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 신앙을 봉안한 타임캡슐이지요.”

 

경원 스님은 불복장의 본질을 이렇게 설명했다.

 

경원 스님은 금산 극락사 회주이자 공주 동학사 주지, 한국불복장연구소장으로 수행과 전법을 이어가고 있다. 수덕사 견성암에서 출가해 동학사 승가대학과 동국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특히 20대 초반 청봉당 혜묵 스님으로부터 불복장을 전수받은 이래 40여 년간 그 전통을 고증하고 재현해 왔다.

 

 

 

동학사 주지 경원 스님이 40여년 간 연구한 불복장 관련 성과를 집대성한 ‘불복장의 비밀’을 펴냈다.

이번 책은 그 오랜 수행과 연구의 결과물이다. ‘불복장의 비밀’은 인도 간다라 시대부터 시작된 복장물의 역사와 한국의 독창적 후령통(喉鈴筒) 전통, 점안의식, 조상경 판본 비교, 현대적 재현 사례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후령통은 장기를 상징하는 복장물로, 주역과 화엄사상 등 고유의 사유체계가 반영된 우리 고유의 성물이다.

 

“동학사 법맥은 고려 말 무학대사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조상경 판본을 따라 계룡산 계열로 내려오는 법맥입니다. 제가 책에 ‘계룡산법’이라 이름 붙인 것도 이 때문입니다.”

 

스님은 복장의 원형을 찾고자 직접 인도, 중국,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등지를 순례했다. 그 사진기록과 사료가 책에 담겼다. 특히 최근에는 CD-ROM, USB 영상 기록까지 복장물로 포함시켜 시대적 맥락을 반영한 현대 복장의 모범을 제시하고 있다.

 

“복장은 이제 문화재로도 주목받아야 합니다. 단지 금은보화가 아니라 복장을 통해 불국사 석가탑에서 목판 인쇄술 유래가 밝혀졌듯이 서지학적으로도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금산 극락사 아미타불 봉안 후령통 조성의식.

경원 스님은 그동안 선운사, 수덕사, 마곡사, 실상사 등 주요 사찰 불상 복장을 직접 수행해왔다. 특히 불상 내부가 어느곳보다 심하게 훼손된 선운사 대웅전 불복장에서 큰 보람을 느꼈다고 회고했다. 또한 실상사 불상에서는 기독교 전례서인 성무일도서가 출현해 당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책은 단순한 매뉴얼이 아니다. 밀교적 전통에 기반해 비전으로 전해졌던 불복장의 의미를 처음으로 정리한 학술서다. 더불어 불교의례의 실천적 지침이자 불교미술과 종교사, 문화재 연구에 길잡이가 되는 안내서이기도 하다.

 

“복장에 들어가는 쌀도 그냥 넣는 게 아닙니다. 찐쌀이어야 천년이 가도 부패하지 않지요. 그간 이런 내용이 공개된 적이 없었기에 더욱 책임감을 느꼈습니다.”

 

경원 스님은 지난 3월 동학사 내에 ‘한국불복장연구소’를 개원하고 후학 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현재 26명의 연구생이 교육 중이며 전시실과 실습 공간도 마련했다. “동학사는 한국 불복장의 발원지이자 미래의 산실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스님의 바람이다.

 

 

 

그동안 출현된 8엽통과 후령통의 시대별 자료.

책에는 불복장에 사용되는 각종 약재와 의식물, 후령통 구성법, 점안의식 절차도 상세히 설명돼 있다. 심지어 티베트나 중동에서 들여온 살충용 약재 ‘아리’, 인도 계피성분까지 포함돼 복장의 세계적 연관성도 제시된다.

 

“불상은 형태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그 안에 시대의 정신과 사람들의 염원이 담겨야 비로소 살아 있는 부처님이 됩니다. 복장은 바로 그 생명의 숨결을 불어넣는 가르침입니다.”

불상에 생명을 불어넣는 불복장의 전통과 의미를 세밀하게 밝힌 ‘불복장의 비밀’에서 비전의식의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정섭 전문위원 sjs88@beopbo.com

 

저작권자 © 법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법보신문(https://www.beopbo.com)


의정부 성불사

대한불교조계종 동학사 충남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 (우 32626) TEL042-825-2570FAX042-825-6068

COPYRIGHTS(C) 2024 DONGHAKSA ALL RIGHT RESERVED